한방,약초,정보

[스크랩] 백발을 검어지게 하는 자양강장제, 백하수오

영동 2017. 11. 17. 19:13


 

 

 

백발을 검어지게 하는 자양강장제, 백하수  

 

백하수오의 다른 이름은 하수오(何首烏), 백수오(白首烏: 산동중약), 태산백수오(泰山白首烏: 중약재 품종논술), 화상오(和尙

 

烏: 산동중초약수책), 대근우피소(大根牛皮消: 중약대사전), 이엽우피소(耳葉牛皮消), 격산우피소(隔山牛皮消), 비래학(飛來

 

鶴: 식물명실도고), 큰조롱, 은조롱, 백하오, 새박덩굴, 구진, 새박뿌리, 해숭애, 박죽뿌리, 곱뿌리, 씨조롱, 참새박죽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큰조롱(을 적하수오 대용으로 백하수오라고 쓰고 있다.중국에서는 백수오(白首烏)라고 하여

 

대근우피소 이엽우피소 격산우피소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맛은 쓰고 달고 덟으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이 없다.

  

자양, 강장, 혈약으로 쓴다.  

 

정기를 수렴하고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한다.  지병으로 인한 허약, 사지관절무력동통, 음허로 인한

 

오래된학질, 빈혈, 수염과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는 증세, 만성 풍비, 허리와 무릎이 약한데, 유즙부족, 성신경 쇠약, 치질,

 

장출혈, 궤양으로 상처가 아물지 않는 증세를 치료하고 노인의 변비를 치료한다.  

      

임상보고에서 백하수오를 황정, 더덕, 지치와 같이 복용하면 모종의 허약성 환자에게 강장 효과를 나타내는데, 적하수오

 

보다 우수하다고 한다.

 

약초연구가 <최진규>씨는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백발을 검어지게 하는 장양강장제하수오는 옛날부터 산삼과 견줄 만한 영약으로 알려져 왔다.  

 

하수오를 먹고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거나 수백 년을 살았다는 얘기가 여럿 전해 온다. 

 

 옛날 중국의 어느 남쪽 지방에 전하는 이야기이다.  하전아(何田兒)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몸이 몹시 허약하여

 

58살이 되도록 장가도 못 들고 혼자서 살았다.  어느 날 그는 집 뒤에 있는 작은 산에 올라갔다가 이상하게 생긴 넝쿨식물을

 

보고 흥미를 느꼈다.  두 그루의 넝쿨이 서로 엉켜 마치 사랑을 나누고 있는 것처럼 보였던 것이다.  그는 이 넝쿨식물의 뿌리

 

를 캐어 집으로 돌아와서 친구들한테 보였으나 아무도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했다.  그는 그 뿌리를 옆에 두고 누었다가

 

깜박 잠이 들었다.  그런데 꿈속에 홀연히 머리카락과 수염이 눈처럼 하얀 노인이 나타나더니 그를 불렀다.  

 

 “전아! 전아!”  그는 대답을 하려 했지만 말이 잘 나오지 않았다.  우물쭈물하고 있는 사이에 노인이 말했다. 

 

 “네가 오늘 산에서 캔 뿌리는 신선이 주는 선약이니 정성스럽게 먹도록 하여라.”  하전아가 꿈에서 깨어 보니

 

한밤중이었다.  이상한 꿈이라고 생각하고 다시 잠이 들었다.  그런데 날이 밝을 때까지 똑같은 꿈을 세 번이나 꾸었다.  

 

예사 꿈이 아니라고 생각한 그는 그 뿌리를 돌절구에 찧어서 가루 내어 하루 세 번, 밥 먹기 전에 먹었다.  한달쯤을

 

먹고 나니 몸에 기운이 나고 머리도 맑아졌다.  그는 다시 산에 올라가 그 넝쿨의 뿌리를 많이 캐서 가루로 만들어

 

두고 일 년을 더 먹었다.  그랬더니 허약하던 몸이 쇳덩어리처럼 단단해지고 기운도 세어졌다.  나이는 비록 60살이

 

다 됐지만 머리카락이 까맣게 바뀌고 얼굴이 젊은이같이 바뀌어 보는 사람마다 이상하게 생각했다.  그는 60살에

 

아내를 맞이하여 아들을 낳고 아들의 이름을 연수라고 지었다.  연수가 건강하게 자라나 어른이 되었을 때 하전아는

 

아들에게 자신이 먹은 신기한 약초 뿌리에 대해 말해 주었다.  그들 세 식구는 산에 올라가 그 넝쿨식물의 뿌리를 캐서 말려

 

 가루 내어 두고 날마다 열심히 먹었다.  그랬더니 아들 연수는 백살이 되었어도 머리카락이 까마귀처럼 검은빛이었고

 

아버지는 160살까지 살았다.  연수가 130살이 되었어도 머리카락이 까맣다고 하여 사람들은 그를 하수오(何首烏)라 불렀

 

다.  그의 성이 하씨이고 머리카락이 까마귀같이 까맣다는 뜻이다.  그 뒤부터 사람들은 이들이 먹던 약초의 뿌리를 하수오라

 

 부르게 되었다.신장, 간장, 심장을 튼튼하게 한다.하수오는 옛날부터 자양강장약으로 이름 높은 약초이다.  

 

야합(夜合), 지정(地精), 교등(交藤), 진지백(陳知白), 산옹(山翁), 산정(山精)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우리말로는 흔히 큰조롱, 또는 은조롱이라고 하며 황해도나 경상도 지방에서는 새박덩굴이라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상남북도, 전라남도, 강원도, 충청북도, 평안도, 황해도 등지의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풀밭이나

 

바닷가의 비탈진 곳 등에 드물게 자란다.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줄기는 1~3미터쯤 자라고 뿌리는 원기둥

 

혹은 저울추 모양으로 구슬처럼 이어져 달린다.  뿌리는 길이 5~15센티미터, 굵기는 1~3.5센티미터쯤이고

 

큰 것은 옆으로 갈라지기도 한다.  뿌리는 겉은 누런빛이 도는 갈색이고 속은 흰빛인데 단단하고 약간 특이한

 

냄새가 난다.  맛은 약간 쓰면서도 떫다.  잘 씹어 보면 밤맛, 고구마맛, 배추뿌리맛이 섞여 있다.  줄기는 왼쪽 방향으로

 

주위의 나뭇가지나 풀 같은 것을 감으면서 자라는 성질이 있고 줄기나 잎을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며 심장꼴이

 

고 꽃은 연한 황록색으로 7~8월에 핀다.  열매는 길이 8센티미터, 지름 1센티미터쯤 되는 피침 모양으로 9월에 연한

 

갈색으로익는다.  열매가 익으면 열매껍질이 터지면서 길고 흰 털이 붙은 씨앗이 프로펠러처럼 바람에 날려 사방에

 

흩어진다.  

 

 

대개 5~10년쯤 자라다가 죽지만 간혹 수십 년이나 수백 년을 자란 것이 발견되는데 이런 것은 약초꾼들이

 

산삼보다도 더 귀하게 여긴다.  수십 년이나 수백 년 묵은 하수오 뿌리 중에는 간혹 속이 썩어서 물이 들어 있는 것이 있는데

 

이 물이 만병통치의 효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하수오뿐만 아니라 더덕이나 지치, 도라지 등 어떤 약초든지 수십 년씩 자란

 

것은 값을 따질 수 없는 보물이 되는 법이다.  하수오는 적하수오와 백하수오의 두 종류가 있는데 우리나라에 야생하는

 

것은 대개 백하수오이고 적하수오는 극히 드물게 발견된다.  

  

약초꾼들 사이에 전해지는 말로는 하수오는 암수가 다른 식물로 서로 떨어져 있다가 밤이 되면 서로 엉켜 안고 지낸다고

 

한다.  그래서 하수오 한 뿌리를 발견하면 반드시 그 주위에 다른 한 뿌리가 있으며 또 밤중에 서로 교합하여

 

음기(陰氣)를 얻은 것이 약효가 더 높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하수오가 암수 딴 그루식물인 것은 아니다.  

 

다만 약초꾼들은 새박덩굴을 숫하수오로 여긴다. 

 

새박덩굴은 잎이 하수오와 매우 닮았으나 덩이 뿌리가 없다.  약초꾼들은 늦은 가을이나 이른 봄철에 말라죽은 줄기를 보고

 

하수오 뿌리를 캐낸다.  예전에는 약초 채취를 직업으로 삼는 약초꾼들이 흔했으나 지금은 거의 사라졌으므로 야생 하수오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재배하거나 중국 같은 데서 수입한 하수오는 야생에 견주어 약효가 형편없이 낮다.  중국산 하수오는

 

우리나라 야생 하수오와 품종이 전혀 다르다.  또 우리 나라에서 재배하는 것은 대개 중국 품종을 가져다가 심은 것이다.  

 

중국 품종은 뿌리가 굵고 수확량은 많지만 뿌리에 녹말만 많을 뿐 약효는 형편없다.  

 

반드시 우리나라에서 자란 야생 하수오를 구해 약으로 써야 제대로 약효를 기대할 수 있다.  

 

.옛 문헌과 현대 문헌에 나온 기록<동의보감>에는 하수오에 대해 이렇게 전한다.  

 

“황해도와 강원도에서 난다.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떫다.  염증을 삭이고 가래와 담을 없앤다.  

 

갖가지 종기, 치질, 만성피로로 몸이 마르는 것, 부인의 산후병, 대하 등을 치료하고 기(氣)와 혈(血)을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골수를 충실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까맣게 하고 오래 먹으면 늙지 않는다.

 

<본초비요>에는 이렇게 전한다.  “성질이 평하고 맛은 달고 쓰다.  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피를 맑게 한다. 

 

정력을 세게 하고 아이를 낳게 한다.  온갖 풍을 없애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검게 한다.

 

북한의 <동의학 사전>에는 이렇게 적고 있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  간과 신을

 

보하며 뼈와 힘줄을 튼튼하게 한다.  또한 대변을 통하게 하고 헌 데를 낫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강장작용, 조혈기능

 

강화작용, 피로회복 촉진작용, 진정작용이 밝혀졌다.  허약한 데, 병후쇠약, 혈허증, 간과 신장이 허해서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는 데, 가슴 두근거림, 불면증, 신경쇠약,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는 데, 변비, 학질, 헌 데, 치질 등에 쓴다.  하루 9~18그램

 

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생것을 짓찧어 붙인다.”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 예로부터

 

하수오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여 피곤함을 없애고, 살결을 곱게 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쇠약이

 

나 불면증 같은 데에도 효과가 있다.  조혈 작용이 뛰어나 빈혈치료에도 좋고 여성의 생리불순, 자궁염, 만성변비 등에도 두루

 

두루 널리 쓰인다.  또 하수오는 노인들의 기력을 돋구는 데 매우 좋은 약이다.  신장기능을 좋게 하여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게 하고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게 하며 오래 먹으면 노화를 예방한다. 

 

 중국 사람들은 하수오를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여긴다.  하수오의 약성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뇌를 튼튼하게 하고 혈을 보충한다.하수오는 약성이 온화하여 쓰임새가 넓다.  피를 토하거나 피를 많이 흘려 뇌빈혈이거나

 

여성이 아이를 많이 낳아 피가 부족할 때, 갖가지 만성병으로 체력이 약해졌을 때에 좋다.  마음을 안정시키고

 

머리를 맑게 하므로 신경쇠약 치료에도 효험이 크다.  머리가 어지럽고 아플 때, 기억력 감퇴, 주의력이 산만해질 때,

 

 잠을 잘 못자고 꿈을 많이 꿀 때 등에 복분자, 산조인, 백자인 등과 함께 알약을 지어 먹으면 효과가 좋다. 

 

오래 먹으면 늙지 않고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는다.허리를 튼튼하게 하고 신장기능을 강화한다.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고 체력을 강하게 한다.  오랜 병으로 몸이 약해졌을 때나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을 때,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플 때,

 

겨우살이, 두충, 속단 등과 같이 쓰면 좋다. 

 

 성기능 감퇴, 조루, 유정 등에는 육종용, 보골지, 토사자 등과 같이 쓴다.생리불순을 치료하고 태아를 안정시킨다.월경량이

 

많거나 날짜가 5일 이상 늦어지거나 색깔에 이상이 있을 때 숙지황, 생지황, 당귀, 황기 등과 같이 쓰면 좋다.  

 

유산을 막는 효과도 있어서 겨우살이, 토사자 등과 같이 쓰면 태아가 안정되고 임신으로 인한 복통이나 출혈에도 효과가

 

있다.대변을 잘 나가게 하고 몸 안의 독을 푼다.하수오는 갖가지 병원성 미생물을 죽이고 약한 설사작용이 있어서 체력이

 

약한 변비환자에게 좋다.  

 

하수오 뿌리에는 ‘옥시메탈안트라키온’ 유도체 1.8퍼센트, 녹말 45퍼센트, 정유 3퍼센트, 레시틴 3.7퍼센트, 라폰틴 등이

 

들어 있는데 이들 성분들이 뇌를 튼튼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고 혈압을 낮추며 몸의 면역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또 소장에서 포도당과 아미노산의 흡수를 높이고 장관을 자극하여 변을 잘 통하게 하여 변비를 없앤다.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데도 현저한 효능이 있다.  어느 한 실험에 따르면 80퍼센트 이상이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혈압을 내리고 동맥경화를 예방한다.하수오는 부작용 없이 혈압을 낮추고 콜레스테롤이 간에 축적되는 것을 막는

 

작용이 있다.  날마다 15그램씩 달여서 복용한다.  3개월 이상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다.증상에 따른 하수오

 

복용법하수오는 체질에 상관없이 남녀노소 누구한테나 좋은 약초이다.  하수오 한 가지만으로도 정성을 들이면 훌륭한

 

약을 만들 수 있다.  단, 우리나라에서 난 야생 하수오를 써야 효과가 제대로 난다.  

 

 노화방지, 정력감퇴, 빈혈, 만성변비야생 하수오 말린 것 다섯 근(3킬로그램)을 구해 잘게 썰어서 쥐눈이 콩 삶은 물에 하룻

 

밤 담갔다가 꺼내어 떡 찌듯이 푹 찐다.  이것을 그늘에 말려 좋은 청주에 하룻밤 동안 담갔다가 다시 쪄서 말린다.  

 

이같은 과정을 아홉 번 반복하면 하수오가 마치 불투명한 유리처럼 된다.  이것을 가루 내어 하루 세 번 빈속에 한 숟가락씩

 

더운 물로 먹는다.  노화방지, 정력감퇴, 빈혈, 만성변비, 성기능 쇠약, 흰 머리를 검게 하는 데,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게 하는

 

 데, 체력을 튼튼하게 하는 데, 효험이 크다.허약체질, 노인, 병후 조리조선 세종임금 때 펴낸 세계 최대의

 

의학백과사전인<의방유취>에 보면 허약체질이나 노인, 또는 앓고 난 사람에게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장수하는

 

처방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하수오 세 근(1.8킬로그램)을 쌀뜨물에 하룻밤 동안 담가 두었다가 잘게 썰어 쇠무릎지기

 

잘게 썬 것 600그램, 쥐눈이콩 1.5킬로그램과 함께 시루에 쪄서 말리기를 세 번 거듭한다.  그 다음에 하수오, 쇠무릅지기를

 

가루 내어 찐 대추살로 반죽해서 0.3그램쯤의 무게로 알약을 만들어서 한 번에 30알씩 먹는다.관절염류머티스성 관절염이나

 

퇴행성 관절염으로 허리와 무릎이 아파 걸음을 잘 걷지 못할 때에는 하수오, 쇠무릎지기 각 600그램을 좋은 술 1.8리터에

 

7일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절구에 찧어 가루 낸 것을 대추살로 반죽하여 0.3그램 무게로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30~50알씩 빈속에 먹으면 좋다  





출처 : 돌아가는 인생
글쓴이 : 회북 원글보기
메모 :